이진혁 프로필 비밀은 없어(송풍백 역) 왜 오수재인가
프로필
이진혁
가수 탤런트
출생 1996. 6. 8.
소속그룹 업텐션
소속사 빌엔터테인먼트
사이트 인스타그램, X(트위터), 유튜브, 틱톡, 위버스

이진혁 프로필
이진혁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에서 1996년 6월 8일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 이 씨.
이진혁 키는 185CM 체중 68KG 혈액형 O형이다.
이진혁 가족은 부모님과 여동생이 있다.
이진혁은 삼선중학교 졸업했다.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했다.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학 학사 학위가 있다.
이진혁 소속사는 빌엔터테인먼트이다.
이진혁의 그룹경력은 업텐션(2015.09.11~2023.02.28)이다. 포지션은 메인래퍼.
이진혁의 부캐는 이대리
이진혁은 2015년 업텐션 미니 1집으로 가수 데뷔했다. 2019년 11월 4일 미니 1집 S.O.L로 솔로 데뷔했다. 2020년 3월 18일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배우 데뷔했다.
이진혁은 팬덤으로 V-DAN(브이단)이 있다.
이진혁 활동
이진혁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다.
이진혁은 보이그룹 업텐션의 전 멤버로 과거 웨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이진혁은 2019년초 본명을 이진혁으로 개명하였으며, 프로듀스 X 101 출연 후 활동명 또한 본명으로 변경했다.
이진혁은 어릴 적 아역 배우로 활동하다가, 다니던 연기학원에 회사 이사님이 오셔서 오디션을 봤다고 한다. 전 소속사오디션에는 나무늘보 연기를 해서 합격했다고 하며, 연습생 기간은 5년으로 멤버들 중에서 연습생 생활을 가장 오래 했다. 이후 2015년에 업텐션으로 공식 데뷔했으며, 2019년 프로듀스 X 101 출연이후 가수, 배우, 예능 등 많은 분야에서 개인 활동을 왕성하게 해오고 있다.
이진혁의 메인 포지션은 래퍼이지만 긴 팔다리로 깔끔한 춤선을 잘 살려 댄서로서의 기량 또한 매우 출중하며, 거기에 아역 배우 경력 및 배우 연습생으로 전 소속사에 입사했던 경험을 살려 연기돌로도 활동하고 있는 올라운더라고 할 수 있다.
이진혁은 무대 욕심이 커서 같은 앨범 활동 안에서도 그날 그날 스타일링 컨셉에 맞게 제스처나 표정 분위기가 매번 바뀌는 등 무대 매너도 좋고 완벽한 무대를 위해 상당히 노력하는 스타일이다.
이진혁은 아역 배우 경력 및 배우 연습생으로 전 소속사에 입사했던 경험을 살려 연기돌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진혁은 SK 공익광고, 엠베스트 광고, 네파 광고, 포켓몬스터 카드 광고 등 다수의 광고에 출연한 경력이 있으며, 괴팍한 5형제 4회에서 게스트로 출연했던 박소현과의 인연을 설명하던 도중 깜빡이 영어 광고에도 단역으로 출연했음이 밝혀졌다.
이진혁은 무대에서 표정 연기가 돋보이는 점에는 이 영향도 있을 듯. 표정이 다양한 편이라 무대 위에서도 연기적인 면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이진혁은 지상파 데뷔작이자 성인 연기자로서의 데뷔작이라고 할 수 있는 그 남자의 기억법에서도 감초 역할로 맹활약하며 안정적으로 녹아들었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놓지마 정신줄의 주인공 정신 역으로 캐스팅되었으며 캐릭터를 잘살려 싱크로율이 높다는 평을 들었다. 놓지마 정신줄이 끝난 후에는 바로 디어엠에 캐스팅되었다. 하지만 디어엠은 주연 배우 중 박혜수의 학교폭력 논란으로 인해 국내 편성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대신 라이브 시트콤 형태의 뮤지컬인 ON AIR - 비밀계약에 섭외됐다.
이진혁은 2022년 지상파 드라마 왜 오수재인가에 캐스팅되어 촬영과 방영을 마쳤으며 드라마상에서도 중요한 순간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등 분위기메이커 남춘풍 역으로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이진혁은 2023년 연내 복수의 작품촬영을 마쳤고 2024년 방영예정이라고 한다.
이진혁은 2024년 JTBC드라마 5월 1일 방송 예정으로 비밀은 없어 출연이 확인되었다.
이진혁 출연 작품: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022년 | 이진혁: 애프터 사이트 | 이진혁 | CGV특별기획전 '씨지비스타(CGVISTA)' |
이진혁 출연 작품: 드라마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배역 | 비고 |
2020년 | MBC | 그 남자의 기억법 | 조일권 | |
SEEZN JTBC |
놓지마 정신줄 | 정신 | ||
2021년 | PLAYLIST KBS2 |
디어엠 | 길목진 | 한국 편성 미정 |
MBC | 이벤트를 확인하세요 | 송종호 | ||
2022년 | SBS | 왜 오수재인가 | 남춘풍 | |
SBS FIL | 라이브 플렉스 | 이PD | ||
2024년 | JTBC | 비밀은 없어 | 송풍백 | |
NETFLIX | Billionaire Island | - |

이진혁 출연 작품: 뮤지컬
공연일 | 제목 | 배역 | 비고 |
2021년 3월 20일~4월 18일 | ON AIR- 비밀계약 | 애런(안두리) | 라이브 시트콤 |
이진혁 출연 작품: 광고
연도 | 기업명 | 브랜드 | 품목 |
2010년 | 포켓몬코리아 | 포켓몬카드 | 완구 |
보카마스터 | 깜박이영어 | 전자제품 | |
2010-2014년 | 메가스터디교육(주) | 엠베스트 | 교육컨텐츠 |
2011년 | 네파(주) | 네파 | 의류 |
2012년 | SK | SK | 기업광고 |
2019년 | (주)세라젬헬스앤뷰티 | 벨라몬스터 | 화장품 |
2019-2020년 |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 웨이크메이크 |
2024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6일까지 〈 끝내주는 해결사 〉의 후속으로 방영 예정인 JTBC 수목 드라마 < 비밀은 없어 > 지금까지 드라마에서 한 번도 정면으로 조명되지 않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의 세계로 들어가 본다.

비밀은 없어 드라마 소개
비밀은 없어
장르 로맨틱 코미디
방송기간 방송 예정 2024년 5월 1일 ~ 2024년 6월 6일(예정)
방송횟수 12부작
제작사 키이스트
채널 JTBC
소개 ‘통제 불능 혓바닥 헐크’가 된 아나운서 송기백이 열정 충만 예능작가 온우주를 만나며 겪게 되는 유치하고 발칙한 인생 반전 코믹 멜로
제작 장지연(연출), 최경선(극본)
사이트 공식홈, 미리보기
출연
송기백 역(고경표), 온우주 역(강한나), 김정헌 역(주종혁),
송인수 역(신정근), 나유정 역(강애심), 송운백 역(황성빈), 송풍백 역(이진혁), 윤지후 역(고규필),
온복자 역(백주희), 채연 역(김새벽), 이하영 역(이봄소리) , 이민구 역(이민구), 성이나 역(파트리샤),
정구원 역(박재준), 마미라 역(김영주), 김영원 역(홍서준).
비밀은 없어 드라마 출연진 소개 : 송풍백 역 이진혁

송풍백 역
삼형제 중 늦둥이 막내 지방 소재 대학교 4학년.
학교에 잘 가지 않고 성적도 좋지 않아 학사경고 2회를 받은 상태지만 여전히 학업에 는 관심 없다. 나름 뭘 한다고 하는데, 집에서는 다 허송세월 보내는 치기로 무시당 하기 일쑤다. 하지만 늦둥이 막내의 기질을 십분 발휘해 엄마에게 온갖 애교를 부려 결국 용돈을 타가지고 도망 나가는 스타일이다.
이진혁(가수, 탤런트) 비밀은 없어(2024), 왜 오수재인가(2022), 이벤트를 확인하세요(2021)
2024.04.20 - [분류 전체보기] - 비밀은 없어 JTBC 수목 드라마 인물 관계도 및 출연진 소개
비밀은 없어 JTBC 수목 드라마 인물 관계도 및 출연진 소개
2024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6일까지 〈끝내주는 해결사〉의 후속으로 방영 예정인 JTBC 수목 드라마 지금까지 드라마에서 한 번도 정면으로 조명되지 않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의 세계로 들어가
9626.tistory.com
비밀은 없어: 거짓말보다 짜릿한 진심이 터진다

블로그 인기글
2023 대체공휴일 모두 며칠인지, 석가탄신일 포함
2023년부터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아직 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기다리는 중이다. 대체공휴일이 하루 더 추가될 수 있을지 2023년 공휴일이 총 며칠이 될지 알아본다. 2023년 계묘년 공휴일은 총 며칠? 2023년 토요일과 일요일,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휴일까지 공휴일을 모두 더하면 쉬는 날은 총 116일이다. 지난해보다 2일 적다. 2023년의 공휴일은 총 67일이다. 일요일이 52일, 국경일과 설날 등을 더하면 16일에서 신정(1월 1일)과 설날(1월 22일)이 일요일과 겹치게 되어 2일을 빼면 66일이 되는데 설날 대체공휴일로 1월 24일(화) 1일을 더하게 되면 공휴일이 67일이 된다. 부처님오신날과 석가탄신일 2022년 12월 21일 '2023년 경제..
9626.tistory.com
폐교대학 2000년 이후 19곳, 대부분 지방대학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 190개로 예상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대학 385곳 중 절반(49.4%)만 살아남고 나머지 195곳은 사라진다는 것이다. 아마도 문을 닫는 대학 상당수가 비수도권 지방대학일 가능성이 높다. 대학이 문을 닫는 이유는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 때문이다. 학교를 살리기 위한 재단의 노력도 한계에 달한 상태다. 대학이 문을 닫으면 대학이 문을 닫으면 주변 상가도 문을 닫게 된다. 지역경제에 먹구름이 끼는 것은 물론이고 많은 교직원들이 실직의 고통을 겪게 된다. 모교가 사라지는 것에 대해 졸업생들이 느끼는 허전함은 둘째치고 재학생들은 인근 대학에 특별 편입학할 수..
9626.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