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대비 한파발생 시민행동요령 비상연락처
겨울철 온도가 갑자기 내려가면서 들이닥치는 추위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행동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한파대비 시민행동요령
◎ 라디어. TV. 인터넷 등을 통해 한파 관련 기상특보를 사전에 파악한다
◎ 난방 기구를 미리 점검하고, 내복과 방한의류를 준비한다.
◎ 수도 계량기에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보호한다.
- 보호함 내부는 헌 옷 등으로 채우고, 외부는 테이프로 밀폐한다
◎ 마당과 화장실 등의 노출된 수도관은 보온재로 감싸준다
- 보일러 밑의 노출된 배관은 헌 옷 등으로 감싸서 보온하여야 한다
◎자동차 월동 용품을 미리 준비해 두고 자동차 상태를 수시로 점검한다.
- 주요 월동 용품으로는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부동액, 축전지, 각종 윤활유 등이 있다.
◎ 가정에 비상용품을 준비해 둔다.
- 비상식품: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 생수. 통조림. 라면 등
- 구급약품: 연고, 감기약, 소화제, 지병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 생활용품: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지
- 기타: 소화기, 라디오, 손전등, 휴대전화, 비상금, 연락망
- 영유아가 있는 경우 영유아용 식료품을 준비해 둔다.
- 음료수는 1인당 20L 정도 준비한다
◎ 전화번호: ☎119, ☎112, 동주민센터, 전기안전공사, 지역난방공사, 수도사업소, 아파트 관리사무소
◎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한다
◎ 당뇨 환자, 만성 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한다.
한파발생 시민 행동 요령
1. 실내
◎ 실내 온도를 19~20℃로 유지한다.
◎ 수도 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 계량기 보온에 더욱 유의한다.
-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때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해 둔다.
-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헤어드라이어 등 온열기를 이용하여 녹이거나 미지근한 물로 서서히 녹여준다.
- 수도관 고장 시 대처방법 상담 요청: ☎120(다산콜센터)
◎ 보일러 배관이 얼었을 때는 헤어드라이어 등 온열기를 이용하여 녹이거나 미지근한 물로 서서히 녹여준다.
◎ 정전에 대비해 손전등, 라디오, 온열기 등을 준비한다.
- 정전이 되면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한국전력공사(국번 없이 ☎123)에 신고한다.
2. 실외
◎ 모자, 장갑, 마스크, 목도리 등을 착용해 신체 온도를 유지하세요.
- 옷은 여러 벌을 겹쳐 입고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 바닥면이 넓은 신발을 착용한다.
◎ 술이나 카페인은 가능하면 섭취하지 않는다.
◎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되도록 낮에 외출하고 혼자 이동하지 않는다.
- 가족에게 꼭 행선지와 시간을 미리 알려둔다.
◎ 동상에 걸렸을 때는 꽉 죄는 신발이나 옷을 벗고 따뜻한 물로 세척 후 보온을 유지하며 즉시 병원에 방문한다.
- 동상 부위를 비비거나 갑자기 불에 쬐지 않는다.
3. 자동차(운전 중)
◎ 평소보다 저속 운행하고, 차간거리를 확보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 운전을 한다.
- 미끄러운 길에서 수동 변속기 차량은 2단 기어에 반 클러치를 사용하고, 자동 변속기 차량은 가속기를 서서히 밟아야 하며, 바퀴가 헛돌지 않도록 앞바퀴는 직진 상태로 출발하여야 한다.
- 커브 길을 돌 때는 미리 속도를 줄이고 기어 변속을 하지 않도록 한다.
◎ 빙판에서 멈출 때는 엔진 브레이크로 속도를 완전히 줄인 후 풋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멈춘다.
◎ 자동차에서 고립되었을 경우
- 구조 연락을 취한다.
- 사람이 함께 있을 경우 체온을 이용하여 보온을 유지한다.
- 구조에 대비하여 차례로 수면을 취하고 항상 한 사람은 깨어있어야 한다.
-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 구조 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 구조 요원의 식별이 쉽도록 색깔 있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는다.
4. 운동 시
◎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여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부상을 방지한다.
- 준비운동을 할 때에는 몸에서 약간 땀이 날 정도가 적당하다.
◎ 가능하면 실내에서 운동을 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인다.
- 고혈압 등 만성병 환자는 꼭 실내에서 운동하도록 한다.
◎ 운동 강도를 평소의 70~80% 수준으로 낮춘다.
- 겨울에는 체온 유지를 위해 10~15%의 에너지가 더 소비된다.
◎ 술은 이뇨. 발한 작용으로 체온을 떨어뜨리므로 운동 중 술을 마시지 않는다.
◎ 운동 후 따뜻한 물로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어 충분히 보온해 준다.
5. 전기 사용 시
◎ 과도한 전열기기 사용을 금지한다.
- 인화 물질을 전열기 근처에 두지 않는다.
- 하나의 콘센트에 다시 여러 개의 콘센트를 연결하는 문어발식 사용을 하지 않는다.
- 전기기기는 반드시 정품을 사용하고 구리선 등을 임의 조작하지 않는다.
◎ 전기에 이상이 생기면 한국전력공사 또는 한국전기안전공사에 신고한다.
- 한국전력공사: 국번 없이 ☎123 (휴대푼: 지역번호 +123)
- 한국전기안전공사: ☎1588-7500
비상연락처
◎ 부상자가 있으면 즉시 구조를 요청한다.
- 응급 상황 발생 시 구조 및 구급 요청: 국번 없이 ☎119
- 기상 상담 전화: ☎02-84-0011 / 팩스: 02-831-0365
- 기상청: 국번 없이 ☎131 (지역 기상 정보: 지역번호 +1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