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고대 붙고도 안 간 1,198명. 합격자 전원 이탈한 학과는?

지후나라 발행일 : 2023-02-14

2023학년도 연세대와 고려대 정시에서 등록을 포기한 합격자가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연세대 이공계 일부 학과에서는 1차 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했다.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캠퍼스. 사진 연세대 홈

 

14일 종로학원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추가합격자 발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개 대학의 정시 전체 모집정원(4660명)의 25.7%인 1198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이날까지 서울대와 연세대는 2차 추가 합격, 고려대는 3차 추가합격을 발표한 상태다.

 

추가합격(등록포기) 인원은 연세대가 596명(35.6%), 고려대 468명(28.5%), 서울대 134명(10.0%) 순으로 많았다. 지난해 같은 차수 발표를 기준으로 연세대는 30명(지난해 2차, 566명), 고려대는 96명(지난해 3차, 372명) 늘었다. 반면 서울대는 16명(지난해 2차, 150명) 줄었다.

 

지난해보다 고려대의 추가합격자가 큰 폭 증가했다. 고려대 인문계열은 지난해 172명에서 올해 183명으로 6.4% 늘었고, 자연계열은 196명에서 273명으로 39.3% 증가했다. 종로학원은 "고려대가 지난해 5차까지 추가 합격자를 발표한 것을 고려해 볼 때 이번에도 5차 이상까지 추가 합격을 발표할 수 있고 인원 또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세대 컴퓨터과학과는 34명 모집에 38명 추가합격자를 발표했다. 합격자 전원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

 

이 학교 시스템반도체공학과도 10명 모집에 11명 추가 합격자를 발표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정부의 반도체 육성정책 등에도 불구하고 의대 이탈을 못 막는 구도"라고 설명했다. 3개 학교의 자연계열 추가합격자는 627명으로 인문계열(529명) 보다 많았다. 

 

인문계에서는 연세대 경영학과에서 정원의 75.8%, 응용통계학과에서 67.7%, 고려대 경영대학 64.6%의 추가합격자가 발생했다. 종로학원 측은 이과에서 문과로 교차 지원한 학생 상당수가 연세대와 고려대의 상위권 학과에 합격하고도 이공계나 의약학 계열로 빠져나가는 구도 때문으로 추정했다.

 

3개 학교에서의 인문 추가합격자는 529명으로 지난해(485명)보다 44명(9.1%)이 늘었고 자연 추가합격자도 627명으로 지난해(585명)보다 42명(7.2%) 증가했다. 비율로 보면 인문 추가합격자가 자연보다 더 많이 늘었다.

 

임대표는 "연세대와 고려대에서 등록포기자가 증가함에 따라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의 추가 합격 인원도 연쇄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의 경우 서울대와 연세대는 3차 추가합격까지 발표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