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 추가혜택 및 적립방식 카드신청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한다.
알뜰교통카드 추가혜택
교통비 절감을 위한 추가 혜택은 더욱 강화하기 위해 마일리지 제도를 다양한 정책, 제도 및 민간 기업등과 연계하여 30% + ⍺의 추가혜택이 가능해진다.
- 미세먼지 정책연구: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를 2배로 적립
- 민간기업 협업: 영화관, 커피숍 등과 협업하여 알뜰카드 이용자 혜택 확대
- 지자체: 차량 2부제 등 환경친화적 정책과 연계하여 추가 인센티브 제공
마일리지 적립 방식
①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②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③ 카드사(신용카드 및 티머니)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④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 앱 출발/도착정보 일치여부 확인
⑤ 정보 확인된 경우,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적립
※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은 스마트폰에서만 이용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7, IOS 11 버전 이상)
'나 알뜰'씨의 활용사례
- 카드사 월 10% 할인(후불카드)
- 대중교통 이용과 연계한 보행/자전거 이용거리에 대한 마일리지 800m까지 250~450월 적립(1회 한도 250~450원/1일 횟수한도 없음), 최대 20% 할인(월 11,000~19,800원/44회 한도),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신한카드 / 우리카드 / 하나카드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 앱 및 알뜰교통카드(신용. 체크카드) 모두 사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티머니페이,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 앱 및 각 모바일카드 앱(티머니페이 앱, 모바일캐시비 앱, 원패스 앱) 모두 사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카드관련 문의사항 - 제도 관련 문의: 한국교통안전공단 054-4579-7442, 054-459-7446, 054-459-7903 - 회원가입, 앱 설치 및 이용, 마일리지 적립 관련 문의: 031-427-4415 - 카드사별 혜택 등 문의: 우리카드 고객센터 1588-9955, 1599-9955 / 신한카드 고객센터 1544-7000 / 하나카드 고객센터 1800-1111, 1588-4000/ 티머니 1644-0088 ※ 당 부 말 씀 ※ 스마트폰에서 카드 신청을 하실 경우 폰에 설치되어 있는 보안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인해서 신청이 월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급적 PC에서 카드신청을 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 티머니페이x알뜰교통카드는 "티머니페이 앱" 설치 후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단말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앱 설치 후, 선불형 교통카드를 발급해 주세요. (지원 단말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모바일 캐시비 고객센터 1644-0006 / 원패스 고객센터 080-427-2342 |
카드 안내 및 신청
알뜰교통카드 신청은 신한, 우리, 하나카드의 후불 신용카드와 후불 체크카드, 선불로 사용할 수 있는 티머니 제로페이X알뜰교통카드, 모바일캐시비X알뜰교통카드, DGB유페이 원패스X알뜰교통카드 그리고 선불 충남형 알뜰교통카드 어린이. 청소년 전용카드가 있다.
(후불) 신용카드 - 신한. 우리. 하나카드
(후불) 신한카드(신용) | (후불) 우리카드(신용) | (후불) 하나카드(신용) |
- 대중교통 (지하철/버스)10% 할인 - 생활 서비스 10% 할인 - 3대 마트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주말 10% 할인 - 편의점, 병원/ 약국(동물병원 제외)10% 할인 -커피전문점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엔젤리너스 10% 할인 |
- 대중교통 10% 청구할인 - 대형할인점업종 2천원 청구할인 - 스타벅스 10% 청구할인 - 주요 놀이공원 자유이용권 50% 현장할인 - 자동납부 10% 청구할인 통신/공과금/렌탈/학습지/보험 - 페이코 포인트 1% 적립 |
- 대중교통 20% 청구할인 - 편의점 10% 청구할인 GS25, CU, 세븐일레븐 - 커피전문점 10% 청구할인 스타벅스, 커피빈 |
(후불) 체크카드- 신한. 우리. 하나카드
(후불) 신한카드(체크) | (후불) 우리카드(COOKIE CHECK) | (후불) 하나카드(체크) |
- 대중교통(지하철,버스, 택시)10% 캐시백 - GS편의점 이용시 최고 7% 캐시백 - 놀이공원, 영화 할인서비스 제공 - 서점/학원/TOEIC 응시료 캐시백 - 통신요금 자동이체시 2~3천원 캐시백 - 체크카드 가능 은행 신한, 우리, 하나, 국민, 농협, 기업, SC제일,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우체국 |
[기본서비스] - 대중교통(버스.지하철) 3천원 캐시백 - 11번가, G마켓, 쿠팡 2천원 캐시백 - CGV, 롯데시네마 5천원 캐시백 - CU, GS25, 세븐일레븐, 올리브영, 군마트(PX.WA,마트) 1천원 캐시백 - YBM시사(토익 응시료 포함) 해커스어학원 3천원 캐시백 - 스타벅스(사이렌오더 포함) 2천원 캐시백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PAYCO 1천원 추가 캐시백 -[추가서비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PAYCO 1천원 추가 캐시백 -[해외서비스] -해외이용수수료면제 - 해외가맹점이용금액 1~2% 캐시백 - 인천공항 라운지 무료이용 서비스 -체크카드 결제가능은행 우리, 신한, 하나,농협,국민, 기업, 부산, 경남, 대구, 광주 SC제일 |
- 대중교통 15% 할인 - 시내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 지하철 공항철도 - 국내온라인 쇼핑 2만원당 200원 할인 - 해외 직접구매 배송 대행료 할인 - 해외 이용 수수료 우대 |
(선불) 티머니. 모바일캐시비. DGB유페이
[선불] 티머니 제로페이x 알뜰교통카드 |
[선불]모바일캐시비 X알뜰교통카드 | [선불] DGB유페이 원패스X알뜰교통카드 |
-티머니 알뜰교통카드는 서울시의 정책 변경으로 인해 신규가입이 중단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세한 문의사항은 서울특별시 교통기획팀(02-2133-2218)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및 기타 문의사항은 031-427-44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대중교통(지하철/버스) 이용금액의 10%를 적립금으로 지급 - 알뜰교통카드 앱 내 모바일캐시비 선불형 카드번호 등록 시 혜택 적용 -대중교통 승.하차 시, 모바일캐시비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태그 - 모바일캐시비 앱 업데이트 후 이용 가능 - 지원 단말기: 안드로이드 ※ 후불형 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혜택 제공되지 않습니다. |
-대중교통(지하철/버스) 10% 캐시백 - 전월 실적 미달 시에도 최대 0.2% 캐시백 - 알뜰교통카드 앱 내 원패스 카드번호 등록시 혜택 적용 - 대중교통 이용 시, 스마트폰이 켜진 상태로 단말기 태그 - 원패스 앱 내 진행 프로모션 동일 적용 - 지원 단말기: 안드로이드 |
(선불) 충남형 알뜰교통카드 어린이. 청소년 전용카드
[선불] 충남형 알뜰교통카드 어린이.청소년 전용카드 |
- 충청남도 거주 어린이 및 청소년(만6세 ~ 18세) 대상 - 충남 시내. 마을버스 초승요금 환급(1일 3회 한정) - 충남버스 ↔ 1호선 전철 환승 시,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 - 충남버스 ↔ 타 시도 버스 환승 시,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 ※ 승.하차 시, 버스단말기에 전용카드 미접촉(미태그) 시 미지급 |
2022년 출. 퇴근 활용 사례
2022년 1년 동안 출. 퇴근을 하며 알뜰교통카드로 쌓은 나의 마일리지 적립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정리해 본다. 알뜰교통카드를 처음 알게 된 것은 2021년 5월이었다. 주거래은행인 하나은행에서 후불 하나카드 체크를 발급받아 출. 퇴근 시 사용하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고 사용하는 카드사를 통해 환급해 준다.
출발하기 전에 '출발' 버튼을 클릭해야 하는 일이 조금 신경 쓰였지만, 나름대로 재미있었다. 내 알뜰교통카드는 하나은행의 체크카드로 카드사 월 15%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후불카드로 1회 한도 250원에 해당되는 기본 거리를 출. 퇴근했고 44회 11,000 한도 내에서 마일리지 적립되고 지급받은 것으로 보인다.
기타란에 있는 숫자는 더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난 것 같아 기록해 놓았다. 대중교통이용뿐만 아니라, 환경의 날/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 2배 적립되는 부분에 있어 기록이 잘 못 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처음으로 확인하다 보니 시간도 많이 지났고, 새로 시작하는 부분은 꼼꼼하게 체크해 봐야 할 것 같다.
2022년 | 당월 마일리지 | 대중교통이용 | 환경의날/미세먼지 | 카드입금 | 환급입금일 | 기타 |
1월 | 8,500 | 7,750 | 750 | 8,500 | 2022.03.14 | |
2월 | 9,500 | 9,000 | 500 | 9,500 | 2022.04.13 | |
3월 | 11,000 | 10,500 | 1,000 | 11,000 | 2022.05.13 | 500 |
4월 | 11,000 | 11,000 | 1,000 | 11,000 | 2022.06.13 | 1,000 |
5월 | 10,500 | 10,500 | 500 | 10,500 | 2022.07.13 | 500 |
6월 | 7,850 | 7,850 | 250 | 7,850 | 2022.08.16 | 250 |
7월 | 11,020 | 11,020 | 0 | 11,020 | 2022.09.13 | |
8월 | 8,700 | 8,700 | 0 | 8,700 | 2022.10.13 | |
9월 | 10,200 | 10,200 | 500 | 10,200 | 2022.11.13 | 500 |
10월 | 9,150 | 9,150 | 0 | 9,150 | 2022.12.13 | |
11월 | 10,100 | 10,100 | 700 | 10,100 | 2023.01.13 | 700 |
12월 | 8,000 | 8,000 | 0 | 8,000 | 2023.02.13 | |
계 | 115,520 |
마치며
서민의 발 대중교통인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알뜰교통카드를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 부끄럽다. 그래도 많이 늦지 않게 활용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매번 출발할 때 '출발' 버튼 클릭을 해야 마일리지 적립을 받을 수 있어 깜빡 잊고 몇 번 놓친 적도 있었다. 이러한 점들이 앞으로 개선되면 좋겠고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지원이 중단되지만 않는다면 앞으로도 알뜰교통카드 사용은 계속될 것 같다. 적립액도 나쁘지 않다. 이 글을 처음 접하신 분 중에 아직 미사용 중이시라면, 사용을 권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