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애심 프로필 비밀은 없어(나유정 역) 원더풀 월드
프로필
강애심
연극배우 뮤지컬배우
출생 1963. 2. 28.
수상 2009년 대한민국연극대상 김동훈 연극상
1991년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
경력 민중극단 단원 서울시극단 단원

강애심 프로필
강애심은 대한민국에서 1963년 2월 28일에 태어났다.
강애심의 소속은 서울시립극단이다.
강애심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강애심 출연 작품: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006년 | 올드미스 다이어리 | 하와이 딸 | 단역 |
2007년 | 어머니는 죽지 않는다 | 비구니 | |
2008년 | ㅅㅍ퍼맨이었던 사나이 | 적십자 직원 | |
2010년 | 비밀애 | 동네 아줌마 | |
2014년 | 당신 | ||
2016년 | 4등 | 하버드 엄마 | 단역 |
성북동 막걸리 | |||
2017년 | 다른 길이 있다 | 정원 모 | 조연 |
2018년 | 엄마와 포포와 나 | 미숙 | 주연 |
욕창 | 유수옥 | ||
2019년 | 우리는 서로에게 | 용녀 | |
82년생 김지영 | 지영 친할머니 | 조연 | |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 | 앵두 | ||
소피스트 학원 | |||
뒤로 걷기 | |||
2020년 | 제씨 이야기 | 주연 | |
2021년 | 수필러브 | 미정 | 조연 |
2022년 | 두 여자의 방 | 엄마 | 주연 |
2023년 | 리바운드 | 교장 사모 | 조연 |
콘크리트 유토피아 | 영탁 모 | 단역 | |
오픈 더 도어 | 치훈 모 | 주연 | |
너와 나 | 병원 간호사 | 특별출연 |
강애심 출연 작품: 드라마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배역 | 비고 |
2018년 | OCN | 보이스 2 : 혐오의 시대 | 의사 | |
2019년 | JTBC | 루왁인간 | ||
KBS2 | 생일편지 | |||
JTBC | 멜로가 체질 | 진주 모 | 조연 | |
OCN | 보이스 3 : 공범들의 도시 | |||
JTBC | 아름다운 세상 | |||
2020년 | OCN | 본 대로 말하라 | ||
JTBC | 검사내전 | |||
KBS2 | 동백 꽃 필 무렵 | |||
2021년 | tvN | 배드 앤 크레이지 | 서승숙 | 조연 |
KBS2 | 드라마 스페셜 - 보통의 재화 | 최경미 | 주연 | |
JTBC | 너를 닮은 사람 | 옥수 | 조연 | |
NETFLIX |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 이미선 | ||
KAKAO TV | 며느라기 | 사린이 엄마 | ||
2022년 | ENA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최영란 | 특별출연 |
2023년 | JTBC | 신성한, 이혼 | 민정 모 | |
2024년 | 끝내주는 해결사 | 박정숙 | 조연 | |
MBC | 원더풀 월드 | 장형자 | ||
JTBC | 비밀은 없어 | 나유정 | ||
미정 | NETFLIX | 오징어 게임 시즌 2 |

강애심 출연 작품: 연극 및 뮤지컬
- 뮤지컬 넌센스 《잼보리》 (2005)
- 《쉬어매드니스》 (2006)
- 뮤지컬 《갓바위》 (2006)
- 뮤지컬 《줌데렐라》 (2008)
- 《마술피리》 (2008)
- 《다윈의 거북이》 (2009)
- 《꿈꾸는 가족연극》 (2009)
- 《신 짜오 안녕 베트남 신부》 (2010)
- 《꿈의커피》 가배두림과 함께하는 배우가 읽어주는 소설 (2010)
- 《빨간시》 (2011)
- 박완서 《배우가 다시 읽다》 (2011)
- 《살》 (2011)
- 《헤다 가블러》 (2012)
- 《878미터의 봄》 (2012)
- 《부엉이는 어떻게 우는가》 (2012)
- 《넙죽이》 (2012)
- 《소년 B가 사는 집》 (2014)
- 《고독청소부》 (2014)
- 《나무위의 군대》 (2015)
- 《육쌍둥이》 (2015)
-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2015)
- 《달팽이의 별》 (2015)
- 국립 작가의 방 낭독극장 《침입》 구자혜 작 (2016)
- 《선물》 (2016)
- 《밥》 (2016)
- 《크레센도 궁전》 (2016)
- 뮤지컬 《새로워진 넌센스》 (2016)
- 《툇마루가 있는 집》 (2017)
- 《생각은 자유》 (2017)
- 《일상의 광기에 대한 이야기》 (2017)
- 《당신은 지금 바비레따에 살고 있군요》 (2017)
- 《제향날》 (2017)
- 《비명자들2》 (2017)
- 《가벼운 스님들》 (2018)
- 《냉면》 (2018)
- 《타클라마칸》 (2018)
- 《두 번째 시간》 (2018)
- 낭독극 《배종옥, 부득이한》 (2018)
- 《이카이노의 눈》 (2019)
- 《감옥에 가기로한 메르타할머니》 (2019)
- 《테라피》 (2019)
- 《꽃의 비밀》 (2019~2020)
강애심 수상 경력
연도 | 시상 | 수상부문 | 비고 |
1991년 | 백상예술대상 | 신인연기상 | |
2009년 | 대한민국연극대상 | 김동훈 연극상 |
2024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6일까지 〈 끝내주는 해결사 〉의 후속으로 방영 예정인 JTBC 수목 드라마 < 비밀은 없어 > 지금까지 드라마에서 한 번도 정면으로 조명되지 않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의 세계로 들어가 본다.

비밀은 없어 드라마 소개
장르 로맨틱 코미디
방송기간 방송 예정 2024년 5월 1일 ~ 2024년 6월 6일(예정)
방송횟수 12부작
제작사 키이스트
채널 JTBC
소개 ‘통제 불능 혓바닥 헐크’가 된 아나운서 송기백이 열정 충만 예능작가 온우주를 만나며 겪게 되는 유치하고 발칙한 인생 반전 코믹 멜로
제작 장지연(연출), 최경선(극본)
사이트 공식홈, 미리보기
출연
송기백 역(고경표), 온우주 역(강한나), 김정헌 역(주종혁),
송인수 역(신정근), 나유정 역(강애심), 송운백 역(황성빈), 송풍백 역(이진혁), 윤지후 역(고규필),
온복자 역(백주희), 채연 역(김새벽), 이하영 역(이봄소리) , 이민구 역(이민구), 성이나 역(파트리샤),
정구원 역(박재준), 마미라 역(김영주), 김영원 역(홍서준).
비밀은 없어 드라마 출연진 소개 : 나유정 역 강애심

나유정 역
기백의 어머니
남편과 달리 일을 벌이기 좋아하고, 사교성도 뛰어나다. 가정경제에 보탬은커녕 손해만 막심했던 남편을 대신해 동분서주하며 생계를 꾸려갔다. 화장품 회사의 방문판매 뷰티매니져다. 적성도 맞고, 생각보다 수입도 나쁘지 않았다. 달동네 허물어져 가는 파란 슬레이트 지붕 집에서 벗어나 그나마 현재의 집에 살게 된 것도 유정 덕분이다.
강애심(연극배우, 뮤지컬배우) 비밀은 없어 (2024), 오징어 게임 시즌 2(2024), 원더풀 월드(2024), 끝내주는 해결사(2024) 등
2024.04.20 - [분류 전체보기] - 비밀은 없어 JTBC 수목 드라마 인물 관계도 및 출연진 소개
비밀은 없어 JTBC 수목 드라마 인물 관계도 및 출연진 소개
2024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6일까지 〈끝내주는 해결사〉의 후속으로 방영 예정인 JTBC 수목 드라마 지금까지 드라마에서 한 번도 정면으로 조명되지 않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의 세계로 들어가
9626.tistory.com
비밀은 없어: 거짓말보다 짜릿한 진심이 터진다

블로그 인기글
2023 대체공휴일 모두 며칠인지, 석가탄신일 포함
2023년부터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아직 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기다리는 중이다. 대체공휴일이 하루 더 추가될 수 있을지 2023년 공휴일이 총 며칠이 될지 알아본다. 2023년 계묘년 공휴일은 총 며칠? 2023년 토요일과 일요일,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휴일까지 공휴일을 모두 더하면 쉬는 날은 총 116일이다. 지난해보다 2일 적다. 2023년의 공휴일은 총 67일이다. 일요일이 52일, 국경일과 설날 등을 더하면 16일에서 신정(1월 1일)과 설날(1월 22일)이 일요일과 겹치게 되어 2일을 빼면 66일이 되는데 설날 대체공휴일로 1월 24일(화) 1일을 더하게 되면 공휴일이 67일이 된다. 부처님오신날과 석가탄신일 2022년 12월 21일 '2023년 경제..
9626.tistory.com
안성훈, '폭행 논란' 트로트계.. 인재 고갈 '위기 속' 1순위 우승후보
황영웅 학폭. 똑같은 서사에 지친 시청자들에게 '미스터 트롯 2' 음악으로 승부한 '정통 트로트 가수' 안성훈이 꼽히고 있다. 본인을 빛나게 만드는 방법을 직감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스타가 되기 위한 가장 큰 덕목이다. 주목 받고 있는 장르, 새로운 스타 트로트 가수 안성훈이 주목받고 있다. 근 몇 년간 트로트는 주목을 받았던 장르다. 새로운 스타가 나왔고 장르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다만, '인물 리스크'로 트로트 신드롬이 주춤거렸다. 최근에는 황영웅의 학교 폭력 논란이 있었다. 여기에 똑같은 서사, 배경의 인물들이 나오면서 '인물 고갈'이라는 비판까지 받았다. 가수 임영웅과 같이 업계의 흐름을 주도할 인물이 필요한 시기다. 재목으로는 안성훈이 꼽히고 있다. 음악으로 승부 중인 가수 안성훈 안성훈은 ..
9626.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