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수강 방법 출석인정 기간 강의실에서 출석률 확인 방법
경희사이버대학교가 3월 3일 월요일 정오 12시에 2025학년도 1학기 개강을 했다. 강의는 매주 월요일 정오 12:00에 송출된다. 모두 13차시로 1차시부터 순차적으로 13번의 강의가 송출된다. 송출된 강의는 차시별로 주어진 출석인정기간에 수강할 경우 '출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강의수강 방법과 출석률 확인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홈페이지 로그인
1. 메인 홈페이지 - 등교하기 클릭

2. 메인 홈페이지 등교하기 클릭하면 포털사이트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5가지 로그인 방법 중 본인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서 로그인한다. 2024년 10월 시스템 개편으로 일반로그인을 포함해 5가지 방법의 로그인으로 강의수강 및 시험응시가 가능하다.
참고로, 전공별로 학과 사무실로 전화하면 모든 상담이 가능하다. 과목별 상담이 필요할 경우 과목 강의실 공지사항에서 조교 연락처 확인후 전화상담과 이메일 상담 및 쪽지 상담도 가능하다. 원격지원이 필요한 경우 학생상담센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각종 증명서 발급이 필요한 경우 증명서발급 클릭 후 발급 받을 수 있다.

3. 포털 LOGIN 화면에서 로그인을 하면 포털시스템으로 이동된다.
학습시스템(나의교실) 클릭하면 강의수강을 할 수 있는 나의교실로 이동하게 된다.

강의수강
강의수강 클릭 - 강의실 바로가기
강의수강을 위해 홈페이지 로그인 후 학습시스템(나의교실)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강의수강'을 클릭하면 수강신청한 과목들이 한눈에 보인다. 과목별 강의실로 입장하기 위해서는 '강의실 바로가기' 클릭 후 강의실로 이동할 수 있다.
- 로그인 - 학습시스템(나의교실) - 강의수강 - 강의실 바로가기

진행 중인 강의
13차시 중 1차시와 2차시 강의가 송출되어 강의실에 탑재되어 있다. 진행 중인 강의 차시별 아래에는 출석인정받을 수 있는 기간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간 내에 수강하게 되면 '출석' 인정을 받을 수 있다.
강의는 '강의 듣기' 버튼을 클릭하고 차시 강별로 수강할 수 있다. 과목에 따라 1.2강으로 구성 된 과목도 있고 많게는 5강으로 이루어진 과목도 있을 수 있다.
강의노트는 구매할 수 있는 과목이 있지만, 모든 과목이 구매 대상은 아니다. 구매할 수 없는 과목의 경우 '강의노트' 클릭 후 다운로드하여 출력해 볼 수 있다.
강의계획서에 참고문헌으로 들어가 있는 교재를 구매할 수 있는지 묻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강의노트 만으로도 수강이 가능하지만,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은 경우 강의계획서 내의 참고문헌 교재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개인의 선택이다.
정상적인 출석이 완료되면 '출결' 부분이 '출석'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출석인정기간 : 차시 별 아래에 출석인정기간이 쓰여있다. (기본 2주 출석인정기간)
- 강의 듣기 : 강의듣기 클릭 후 수강
- 강의노트 : 다운로드하여서 출력 또는 패드나 탭에 저장해서 사용
- 출결: 정상적으로 수강한 경우 결과를 볼 수 있다.

주차별 출석인정기간
강의실에서 매 차시마다 차시별로 출석인정기간을 알려주고 있지만, 학교 홈페이기 개강 안내 공지에 친절하게 한 학기 동안 출석인정기간을 공지하고 있다.
한 학기는 15주로 진행되며 강의는 모두 13차시가 송출되며, 1~7차시 강의 후 중간고사가 진행되고 8~13차시 후 기말고사 후 종강하게 된다. (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 2025학년도 1학기 개강 안내])
홈페이지 공지사항과 학사일정은 중요하므로 반드시 필독 후 달력에 메모하자.

출석인정의 예시
결석
1주 차 1차시 강의가 송출되었으나 아직 적응기간으로 강의수강이 안 된 상태로 '결석' 표시가 진하게 표시되어 있다. 놀라지 마시라. 빨리 강의 수강하라고 경고등이 켜진 느낌이라고 할까. 서둘러 강의 수강을 해야 할 것만 같다. 출석률 또한 0%이다. 이제 방법을 하나씩 알게 되었으니 수강을 해 보자. 출석률 100%를 향해서~.

출석
1주 차 1차시 강의 송출 후 수강을 마치고 출석으로 인정받았다. 1차시 출석 표시가 되어 있고, 출석률도 100%로 보인다.

아래 보이는 출석률 차이를 비교해 보자. 쉽게 이해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 2차시까지 송출된 4강의 강의중 3강까지 수강했을 경우 출석률 75%로 보인다.
- 1차시와 2차시 중 1차시만 수강한 경우 출석률은 50%로 보인다.

강의목록
출석인정 기간이 지나면 강의는 '강의목록'으로 이동된다. 출석인정 기간이 끝나고 새로운 강의가 탑재되면 지난 강의 복습할 수 없는 건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참 많다. 그러나 지난 차시의 강의는 없어지는 게 아니고 '강의목록' 게시판으로 이동되어 있으니, 시간이 허락되는 한 무한반복 복습할 수 있다.
모니터가 와이드가 아닌 경우, 강의목록을 찾기 위해서는 네모난 빨간 박스를 클릭하면 왼쪽에 강의목록 등 게시판을 볼 수 있다.

출석률과 진도율 확인
수강을 하다 보면 출석률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강의실 바로가기 바로 아래에 '학습현황 조회'를 클릭하면 출석현황(출석)과 학습현황(참여)을 확인할 수 있다. 클릭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한 번씩 클릭해 보자.
- 출석률은 강의마다 진도율 75% 이상이면 출석으로 인정 받는다

학습현황은 강의실마다 게시판 활동이 있는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진행할 경우 점수로 반영된다. 강의계획서 평가기준을 살펴보자.

마무리
개강 후 첫 주차강의에 이어 2차시 강의까지 송출되었다. 신. 편입생들은 새롭고 낯선 환경에 적응해 가는 시간이다. 강의수강 방법과 출석인정기간과 출석률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 학기만 잘 적응하면 나머지 학기들은 쉽게 갈 수 있다. 사이버 대학에서 수강은 컴퓨터 앞에 앉아 화면을 주시하며 강의를 수강해야 한다. 지치지 않도록 마음의 호흡 크게 하고 즐강하시기 바란다.
블로그 인기글
2023 대체공휴일 모두 며칠인지, 석가탄신일 포함
2023년부터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아직 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기다리는 중이다. 대체공휴일이 하루 더 추가될 수 있을지 2023년 공휴일이 총 며칠이 될지 알아본다. 2023년 계묘년 공휴일은 총 며칠? 2023년 토요일과 일요일,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휴일까지 공휴일을 모두 더하면 쉬는 날은 총 116일이다. 지난해보다 2일 적다. 2023년의 공휴일은 총 67일이다. 일요일이 52일, 국경일과 설날 등을 더하면 16일에서 신정(1월 1일)과 설날(1월 22일)이 일요일과 겹치게 되어 2일을 빼면 66일이 되는데 설날 대체공휴일로 1월 24일(화) 1일을 더하게 되면 공휴일이 67일이 된다. 부처님오신날과 석가탄신일 2022년 12월 21일 '2023년 경제..
9626.tistory.com
안성훈, '폭행 논란' 트로트계.. 인재 고갈 '위기 속' 1순위 우승후보
황영웅 학폭. 똑같은 서사에 지친 시청자들에게 '미스터 트롯 2' 음악으로 승부한 '정통 트로트 가수' 안성훈이 꼽히고 있다. 본인을 빛나게 만드는 방법을 직감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스타가 되기 위한 가장 큰 덕목이다. 주목 받고 있는 장르, 새로운 스타 트로트 가수 안성훈이 주목받고 있다. 근 몇 년간 트로트는 주목을 받았던 장르다. 새로운 스타가 나왔고 장르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다만, '인물 리스크'로 트로트 신드롬이 주춤거렸다. 최근에는 황영웅의 학교 폭력 논란이 있었다. 여기에 똑같은 서사, 배경의 인물들이 나오면서 '인물 고갈'이라는 비판까지 받았다. 가수 임영웅과 같이 업계의 흐름을 주도할 인물이 필요한 시기다. 재목으로는 안성훈이 꼽히고 있다. 음악으로 승부 중인 가수 안성훈 안성훈은 ..
9626.tistory.com
댓글